-
[기고] 6·15공동선언 20주년 교훈 '自强不息'김병내 광주 남구청장한 걸음이든 반 걸음이든 끊임없이 전진해야 할 과제가 있다. 남·북 관계다. 더 나아가서는 한반도의 통일이다.올해는 6·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이하는 뜻2020.06.10@ 김병내
-
[기고] 청년의 시선-청년 김재순, 일하다 죽다김재순. 한 번도 만나 적 없던 이를 뉴스를 통해 처음 만났다. 그가 일하던 폐자재 재활용업체에서 파쇄기에 몸이 끼어 숨졌다는 내용을 보고 눈을 감았다.광주에서 일자리를 얻게 됐다2020.06.09@ 박수민
-
[기고] 호남 경영경제인 양성, 70년의 나날들지난 5월 27일은 호남 지역 비즈니스 스쿨의 대명사격인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설립 70년이 되는 날이었다. 한국전쟁으로 시국이 혼란한 가운데 대학을 설립하고 온갖 악조건을 무릅쓰며2020.06.02@ 박성수
-
[기고] 십일 간의 꽃잎들은 세상으로 날리고감정(感情)은 emotion이다. 감정이란 단어 속엔 motion 즉 움직이다는 movement가 들어있는 것이다. 감정의 개인적이고 내밀한 느낌보다는 감동(感動)을 깊이 느껴 마2020.06.08@ 한재섭
-
[기고] 의향, 자랑스러운 우리 광주6월 1일은 의병의 날이다. 이 의병이란 용어의 유래는 조선 7년 전쟁인 임진 정유 두 왜란에 있다고 할 것이다. 1592년 4월 13일이다. 고니시 유키나가의 왜군 선봉대 1만2020.05.31@ 송형택
-
[기고]국민의 평생 건강을 지키는 건강보험올해 1월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어느덧 시간이 많이 흘러가고 있다.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구·경북 지역이 초기 급속히 늘어나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가 컸다. 다행2020.05.31@ 무등일보
-
[기고] 일몰제 도시공원 보상은 얼마나?요즘 코로나19로 대외활동을 못해 가끔 동네 산에 오르면 이렇게 도심 속에 쾌적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공원이 있다는 것이 새삼 좋다는 느낌이 든다.지구의 온난화 영향으로 도시숲과2020.06.01@ 정병윤
-
[기고] '포스트 코로나' 광양경제 새로운 변곡점코로나19 여파로 국내는 물론 전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. 국제통화기금(IMF)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계불확실성지수(WUI)는 역대 최고치를 찍었고 베트남전쟁 때보다도 높다2020.05.25@ 최대원
-
[기고] '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' 제정을 환영하며지난 5월 20일 20대 국회에서 지역의 숙원인 이른바 '마한 특별법'인 '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'이 통과되었다. 법안에는 고구려·백제·신라·가야와 함께 마한·탐라도 하2020.06.03@ 박해현
-
[기고]토지 관리에 드론 뜬다···'지적 재조사 사업'에 공익적 관심을최근 광주 지역 한 지자체는 '지적 재조사 사업'에 '드론'을 처음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. 이 지자체는 지난해 말 국토부의 지적재조사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고, 도시재생뉴딜지역 도2020.05.24@ 이왕무
-
[기고] 화순 가는 길광주에서 17번 시내버스가 다녔다. 지원동을 지나면 우측으로 개천이 길게 내려왔다. 그 위를 작은 다리가 건너고 논과 밭을 가르는 좁은 길이 이어졌다. 찻길을 따라 마을과 정미소,2020.05.20@ 전동호
-
[기고] 5·18진상규명의 과제와 각오역사와 국민으로부터, 특히 지난 40년 동안 5·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을 갈망해 온 5·18피해당사자들로부터 부여받은 사명과 책임감의 무게를 실감하고 있습니다. 5·18민주화운동2020.05.17@ 무등일보
-
[기고] 코로나19 위기와 기회의 광주관광코로나19로 관광산업 전반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. 세계보건기구(WHO)의 팬데믹 선언과 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한 각국의 외국인 입국금지,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등으로 소비심리가 급2020.05.19@ 무등일보
-
[기고] 코로나19로 바뀐 세상, 한 발 앞서 대응해야 할 때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세계적인 대유행이 되면서 2020년 우리의 봄은 온통 코로나19로 인한 힘들고 아픈 기억만 남겨두고 지나2020.05.17@ 무등일보
-
[기고] 사고(死苦)와 사고(事故)는 예방할 수 있다불교에서는 부귀고하를 막론하고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여덟가지 괴로움(八苦)을 겪게 되는데 그중에서 죽음의 괴로움을 사고(死苦)라 한다. 우리가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뜻밖의 불행2020.05.26@ 박갑수
-
[기고] 원격강의의 허(虛)와 실(實)코로나 19가 잠잠해지더라도 일단 온라인 생활의 편리함에 익숙해진 우리의 일상들은 코로나 19 이전으로 돌아기기는 쉽지가 않을 것이다. 각종 온라인 구매 (온라인 쇼핑), 온라인2020.05.10@ 정기주
-
[기고] 국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건강보험의 가치코로나19 증상이 발생되거나 의료진이 검진을 권유한 경우 무료 진단과 확진자는 완치될 때까지 국가가 책임을 져 주었다. 진단검사 비용은 16만 원, 확진자 치료비는 최저 330만2020.05.13@ 무등일보
-
[기고] 전두환, 그는 왜 반성할 줄도 모를까?정말 기다리지도 않았다. 그런데 5월은 오고야 말았다.필자는 80년 5월에 부상을 당했다. 그 이후 민주화투쟁 과정에서 안기부·보안대·교도소를 섭렵했다. 그리고 지금은 천형의 땅,2020.05.06@ 이지현
-
[기고] 나주 천년의 빛, 방사광가속기를 품다마한의 찬란한 문화의 상징 국보 295호 금동관, 후 삼국시대 말 나주를 얻어 고려를 세웠던 태조 왕건!조선 개국의 기틀을 마련한 삼봉 정도전이 꿈꿨던 나주!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2020.04.28@ 무등일보
-
[기고] 코로나를 대비한 학교교육의 미래"이 또한 지나 가리라" 는 막연한 기대와 안일한 대비로 결코 안주할 수 없는 상황이 학교교육의 현장에 들이 닥쳤다. 코로나의 빠른 종식을 바라는 간절한 소망은 우리 모두의 한결같2020.05.05@ 장재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