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'최초 희생자 김경철부터 이한열까지' 거리로 나섰다5·18 희생자 얼굴들 금남로 행진
피해자 가족과 시민·학생 손으로
5월 광주부터 6월 항쟁까지 다뤄
2020.05.17@ 서충섭 -
5·18 주제로 안성기 열연 영화 베일 벗어15일 '아들의 이름으로' 시사회
그날의 책임자에 복수하는 내용
2020.05.18@ 김혜진 -
보수단체 광주서 집회 못한다(종합)광주지법 “집회금지 행정처분 정당”
자유연대 신청한 가처분 기각 결정
2020.05.18@ 주현정 -
그날의 흔적···미개방 사적지, 15일부터 열린다미개방 5·18 주요 사적지들을 일반 시민들도 둘러볼 수 있게 된다.5·18기념재단와 5·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5·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오는 15일부터 24일까지 주2020.05.18@ 김누리
-
광주, 40년만에 옛 전남도청으로 돌아온다18일 역사적인 첫 도청 앞 기념식
피해자 가족 자녀들에 세대교체
5·18민주광장 인근서 관람 가능
코로나 우려 공연 대신 사연 상영
문재인 대통령 대국민 메시지 주목
2020.05.18@ 서충섭 -
문 대통령, 5·18 왜곡·폄훼 대한 의견 밝힌다광주MBC, 17일 오전 8시 방송
오월 진실규명 의지도 드러내
2020.11.17@ 김혜진 -
5·18기념행사 주말까지 풍성하게16일 금남로서 희생자 인형 행진
주먹밥 나눔에 문화·예술행사도 풍성
2020.05.18@ 주현정 -
"40년 됐지만 밝혀진건 하나도 없어 가슴 아파"이명자 오월어머니집 관장
전두환, 사죄할 마지막 기회 놓쳐
21대 국회서 특별법 만들어지길
'거짓·선동 처벌' 왜곡·폄훼 말라
2020.05.18@ 선정태 -
"광주 안방 못 내줘" 시민단체 행동 나선다16일 종일 광주시민 비상행동
아침부터 극우단체 진입 봉쇄
오후 1시께 자유발언 등 실시
“금남로 극우세력 진입 봉쇄”
2020.05.14@ 이영주 -
5월광주 벽화에 밥짓는 모습 빠지지 않는 이유는?빅카인즈 분석
2020.05.15@ 유지호 -
해외 민주·인권도시 시장들 "5·18 역사적 가치 지지"코로나로 참석 어렵자 영상 메시지
“대한민국 민주화는 5·18에서 시작”
2020.05.14@ 김대우 -
국민 80% "5·18 역사왜곡처벌법 필요"2020 5·18 인식조사 결과 발표
대구·경북서도 과반수 이상 찬성
소득 높을 수록 5·18에 긍정적
‘책임자 처벌 제대로 안돼’ 74%
2020.05.18@ 서충섭 -
[예술로 살아오르는 5·18 공연 리뷰] '나는 광주에 없었다'“우리가 사랑했던 것, 헛됨은 없어라”
국립아시아문화전당 40주년 헌정작
40년만에 소환된 1980년 현장
관객과 만들어가는 새로운 ‘꿈’
세대·지역 넘어 '함께'로의 비상
5·18 기억저장소, 전승의 무대로
2020.05.18@ 조덕진 -
'님을위한행진곡'을 말하는 황석영황석영 소설가가 13일 오전 광주문화예술회관 국악당 옆에 자리잡은 '임을 위한 행진곡' 표지석 앞에서 인터뷰하고 있다. '임을 위한 행진곡'은 황석영 소설가가 '묏비나리'를 개작해2020.05.13@ 오세옥
-
'님을 위한 행진곡' 만든 주인공들13일 오전 광주문화예술회관 국악당 옆에서 열린 '임을 위한 행진곡' 표지석 제막식에서 황석영 소설가, 김종률 작곡가 등 노래를 만든 주역들이 모여 기념촬영하고 있다. '임을 위한2020.05.13@ 오세옥
-
'5·18 민주광장' 어떤 곳?옛 전남도청 앞 광장
전일빌딩·금남로 인접
한국 민주주의 상징
2020.05.18@ 김성희 -
[영상]신문을 통해서 본 5·18 민주화운동 40주년5·18민주화운동이 올해로 40주년을 맞는다.사람으로 치면 불혹(不惑)의 나이.40년의 역사를 무등일보를 통해 되돌아 봤다.이영주기자 lyj2578@srb.co.kr · 최여정기자2020.11.17@ 김양희
-
'5·18 40돌 기린다' 코로나19 여파에도 추모 열기 식지 않아5·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은 가운데 코로나19 여파로 오월 영령을 기리는 참배객 수가 예년보다 대폭 줄었지만 추모 열기는 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.13일 국립5·18민주묘지2020.05.18@ 류성훈
-
"5·18 왜곡, 80년대 국보위서 시작"40년만에 공개된 ‘광주사태 보고서’원본
같은 기관서 나온 서로 다른 내용 담겨
계엄군에 유리하게, 시민들에 불리하게
광주 청문회 앞두고 계엄군 치부 숨긴 듯
“기록 왜곡으로 광주시민 폭도로 조장”
2020.05.18@ 서충섭 -
5·18 40주년 기념식 옛 도청 앞 확정국가보훈처, 광주광역시청에 유선 전달
2020.05.18@ 주현정